IPM 사과
2022.04.25 (09:49)- 조회 : 235
- 댓글 : 0
- 추천 : 0
- 게시물 신고

운영*

IPM사과란?
병해충종합관리(IPM) 체계에 의해 생산되는 사과를 뜻하며,인간과 환경에 안전한 사과를 말합니다.
[ IPM 기본개념 ]
사과 병해충 종합관리(IPM: Integrated Pest Management)는 한마디로 작물·병해충·천적에 대한 지식을 기초로 각종 방제기술을 상호모순되지 않는 형태로 사용하여 병해충 발생을 경제적피해수준 이하로 감소시키거나 유지하기 위한 관리체계라고 정의할 수 있다. 다시말해서 IPM은 첫째, 병해충의 근절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며 천적을 보호하기 위해 해충도 허용가능한 수준이하로 발생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각각의 방제기술은 장점과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잘 조화시켜서 상승효과를 거두고 자연적인 방제요인을 최대로 활용하자는 것이다.
셋째, 특정 병해충만을 방제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고, 사과원과 주변에 존재하는 잠재병해충이나 천적과의 관계도 고려한 방제체계이다.
넷째, 방제체계 수립시 농약에 대한 병해충의 저항성과 농산물 잔류 등 장기적이고 사회적인 문제도 고려하여 최대한 선택성농약을 사용한다.
끝으로, 최대 수량을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않고 방제비용·이익·위험정도를 비교하여 순수익의 최대화를 지향하는 방제체계이다.
1980년대에는 유럽 각국에서 자국의 환경보전을 목적으로 사과재배 농업인에게 IPM을 의무적으로 실천토록 하였을 뿐 아니라 유럽에 사과를 수출하는 다른 나라에까지도 IPM을 준수하도록 권장하는 추세이다.
특히, 1992년 국제환경회의에서 합의한 리오선언에 따라 각국은 환경농업 실천을 위하여 농약사용을 50% 이상 절감하는 방안을 마련하여 제시하고 실천하여야 한다. 우리나라는 2004년까지 1993년 기준으로 농약사용을 50% 절감한다는 목표를 설정하였고, 이러한 목표달성을 위한 방안으로 IPM을 제시하므로서 우리가 IPM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IPM은 농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과도하게 투입되는 농약사용을 줄임으로서 토양오염, 수질오염 등 환경에 나쁜 영향을 경감시킴과 동시에 자연환경 보전을 목적으로 한다. 다시말해서 IPM은 농약에 주로 의존하던 방제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재배환경을 개선하여 병해충 발생을 적게하고 천적의 정착과 증식이 가능하도록 선택성 농약을 활용하므로서 자연생태계와 조화를 이루는 환경농업 실천방안인 것이다.
[ IPM의 기반(기초) ]
IPM에서는 병·해충·천적에 대한 식별과 발생예찰, 병해충의 생활사와 생태, 경제적 피해수준, 과수원의 재배관리 및 사회경제적 요인 등에 대한 이해를 하는 것이 기반이 된다.
IPM의 가장 기초가 되는 사항인데도 우리가 너무나 소홀히 여기고 있는 것이 병해충의 발생상황을 조사하는 일이다. 방제가 필요한지 또는 방제가 잘 되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서는 병해충의 피해와 발생정도를 일정 시기별로 조사해야만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사과원 전체를 조사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취약한 일부장소나 나무를 육안으로 살펴보기도 하고, 흰천등을 받치고 가치를 툭툭쳐서 떨어지는 벌레를 조사할 수도 있으며 유아등이나 성페로몬 트랩을 설치하여 파악할 수도 있다.
병이나 과실을 가해하는 해충은 피해가 나타나기 이전에 앞으로의 피해를 예측할 수 있어야 대책을 세울 수 있다. 병해는 기상측정 자재와 병원균 포자채집기를 설치하여 기상자료와 포자비산상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신속히 방제대책을 전파해 주고, 주요나방류 발생상황은 주산단지 또는 선도농가별로 성페로몬트랩을 설치하고 여기에서 조사되는 결과에 따라 주산단지별 방제여부와 방제적기를 제시해 주는 것이 효과적인 발생예찰 수단이다.
또한, 병해충 발생은 다른 병해충과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전정·시비·잡초관리 등 사과원 재배관리와 주변 서식처 등도 발생에 관여하는 요인이 되고, 나아가서 소비자나 환경에 미치는 사회경제적 문제까지도 방제기술을 결정하기 이전에 우리가 고려해야만 하는 IPM의 기초가 되는 사항들이다.
천적만으로 대상해충을 방제하는 것이 충분치 않더라도 선택성농약 사용·초생재배에 의한 서식처 제공 등 천적의 발생을 도와주는 관리가 병행될 때 IPM의 방제대책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천적은 안전성이 높고 경제적이나 천적이 충분히 증가 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리므로 해충피해가 다소 나타나는 것은 감수하겠다는 각자의 인내심이 필요하다.
최근에 미국과 유럽에서와 같이 성페로몬의 교미교란 효과를 이용한 방제가 심식나방류·잎말이나방류에 실시될 경우 광범위 살충제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산지 사과원의 경우 저녁에 다 익은 과실로 날아와 흡즙을 하여 피해를 주는 흡수나방에 대해서, 그물을 치거나 숲과 인접한 사과원 주변 울타리에 초저녁 시간동안 전등을 켜서 피해를 방지하는 것도 물리적 방제의 한 예이다.
- 0